• 아시아투데이 로고
中 신장 위구르족 강제수용 내용 담긴 비밀문건 유출

中 신장 위구르족 강제수용 내용 담긴 비밀문건 유출

기사승인 2019. 11. 28. 09:38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신장 자치구 수용시설
위구르족을 수용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신장위구르자치구의 한 수용소/제공=미국의 중국어 인터넷 신문 보쉰(博訊).
독일 언론사와 국제탐사보도언론인협회(ICIJ)가 중국의 소수민족에 대한 억압 정책과 강제수용 사항이 담긴 기밀 문서를 협력 보도하고 중국 정부에 진상규명을 요구하고 나섰다. 이들이 공개한 비밀 문서엔 신장 자치구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중국의 종교적·민족적 탄압과 관련한 세부 사항이 기록돼 있다.

독일 동서공영방송국 NDR·WDR 및 유력 일간지 쥐트도이체자이퉁(SZ)은 중국 신장자치구에 대한 당국의 거대한 민족 억압 정책이 기록된 비밀 문서를 입수했다고 최근 보도했다. ICIJ가 제보한 이 문서는 전 세계 17개 언론사가 협력해 조사에 들어갔으며 독일에서는 세 개 언론사가 참여했다.

‘차이나 케이블스(China Cables)’라는 이름으로 공개된 문서는 신장 위구르 자치구 공안 정책을 총괄하는 당위원회가 공안 당국 등에 전달한 공고문과 신장 자치구 법원의 사상범죄 판결문 등 6가지를 담고 있다. 모든 문서에는 당시 신장 자치구 공산당 부서기 겸 공안청장의 결재가 있으며 공산당 내 2급 기밀로 분류된 상태다. 문서에는 중국 정부가 소수민족을 어떻게 통제하고 ‘재교육’시키는 지에 대한 지침이 기록돼 있다. 이는 중국 정부의 “신장 자치구에 설립한 수용소는 자발적으로 교육을 원하는 사람에게만 교육 훈련을 제공하는 시설”이라고 단언해온 지난 3년간의 주장을 반박할 중요한 증거자료라는 평가다.

전문가들은 중국 북서부 신강 자치구에 위구르족을 포함한 무슬림 소수 민족 100만명 이상이 재판을 받지 않은 채 강제구금당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문서에 따르면 그들은 철저한 감시·통제 하에 사상교육을 받으며 교육에 협조하지 않는 사람은 처벌을 받게 된다. 교육 관리 문서의 서두는 “사회 전체의 안정성과 장기적인 평화를 증진시키기 위해 우리는 교육 센터의 업무를 강화하고 표준화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지침을 따른다”라는 문구로 강제 구금과 교육에 대한 목적을 설명하고 있다.

◇ 홀로코스트 이후 가장 큰 규모의 민족탄압

지침에서 시설은 ‘직업교육 훈련센터’, 수용자들은 ‘학생’으로 명시한다. 지침에 의하면 학생들이 머무르는 침실, 복도, 교실 문은 두 사람이 이중 잠금해야 하며 사각 지대가 없도록 폐쇄회로텔레비전(CCTV)를 설치해 24시간 모니터링한다. 주된 교육은 학생들에게 이념과 사상을 주입시키고 통제하는 것이다. 과거 행동의 불법성과 범죄성 및 심각성을 이해·인정시키는 것이 교육의 1차 목표이며 참회와 사상 재정립을 권장하는 것이 2차 목표다. 탈출은 절대 허용되지 않으며 정문에는 경찰이 배치된다. 학생들은 기상과 점호, 식사는 물론 화장실을 가는 것과 정리정돈하는 시간까지 철저하게 통제되며 행동 범위와 움직임까지 규율에 따라야 한다.

시설에서 나온 사람들의 사후 관리감독에 대한 내용도 빠지지 않았다. 문서에는 “경찰과 사법부를 포함한 지역 민간 단체가 이를 책임지도록 하며 작은 조짐도 놓치지 않도록 도움과 통제를 엄격히 시행하라”고 기재돼 있다. 아드리안 첸즈 중국 소수민족 연구가는 신장 수용소에 대해 “종교적 소수 민족 전체에 대한 국가 차원의 체계적인 억류”라고 말하며 “홀로코스트 이후 가장 큰 규모의 민족 탄압”이라고 비난했다.

독일 세 언론사를 포함해 ICIJ와 함께 조사를 진행해온 세계 언론사들은 공동성명을 통해 중국 당국에 민족탄압정책에 대한 진상규명을 촉구했으나 현재까지 답변은 없는 상태다. NDR·WDR·SZ 언론사는 공동으로 베를린에 위치한 중국 대사관에 별도의 진상규명 요청서를 보냈다. 주독 중국 대사관은 문서에 대한 언급은 배제한 채 ‘직업 교육 및 훈련을 통해 테러와 극단주의에 대항하려는 국가적 노력’이라는 시진핑 국가주석의 공식성명만 전해 왔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