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칼럼] 에너지 안보와 탄소중립의 공존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1.asiatoday.co.kr/kn/view.php?key=20220627010013521

글자크기

닫기

 

승인 : 2022. 06. 29. 06:00

[첨부] 증명사진(반명함판)_에너지경제연구원장 임춘택
임춘택 에너지경제연구원장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여파로 고유가 추세가 길어지고 있다. 러시아에 대한 금수조치로 석유·가스·석탄·우라늄 가격이 요동을 치고 있다. 이로 인한 전기요금과 물가상승 압박이 커지고 있다. 가스와 석유·석탄·우라늄 수급 안정이 급선무다. 에너지안보가 중요해진 이유다. 이를 위한 자원·통상외교도 긴박하게 전개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고유가가 되면 화석에너지에 대한 투자가 늘어난다. 석유 시추공 수가 늘어나고 결국 원유와 가스 생산량 증산이 이뤄져서 유가가 하락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통념이 무너지고 있다. 석유 시추공 수가 기존의 절반 정도밖에 늘지 않고, 석유수출국기구 OPEC도 증산에 적극 나서고 있지 않다.

고유가 극복 지연의 주원인은 탄소중립이다. 작년 유엔기후변화협약당사국총회 COP26 이후 가장 탄소를 많이 배출하는 중국·미국·유럽연합·인도를 포함해 134개국이 탄소중립을 선언했다. 이에 세계적 투자회사인 블랙록을 비롯한 금융권은 기업들에게 친환경(ESG) 경영을 요구하며 탄소를 배출하는 좌초자산 비투자를 권고했다. 이전에는 고유가이면 화석에너지에 대한 투자가 활발해졌지만 10~15년 후엔 재생에너지에 밀려나는 전통에너지원 투자에 소극적일 수밖에 없다. 대신에 각국의 탄소중립 추진으로 태양광·풍력발전, 배터리, 전기차, 송배전선 등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리튬, 구리, 희토류 등 광물자원 가격이 급등하는 그린플레이션이 발생한 이유다. 지난 10년간 10분의 1로 하락했던 태양광모듈, 배터리 가격도 반등세다.

탄소중립이 에너지안보를 위협하는 형국이다. 기후위기가 심각해져가는 상황에서 탄소중립 속도를 완화할 수도 없는 상황이다. 오히려 탄소중립이 패권경쟁과 무역장벽에 활용되면서 강화되는 추세다. 유럽연합과 미국이 탄소국경조정(CBAM) 추진에 공조하는 것이 한 예다. 미국은 한국·일본·호주 등 우방국과 태양광·배터리·수소·원전 기술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화석연료의존적 중국경제에 타격을 주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중국의 반격도 만만치 않다. 러시아와 화석연료·자원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이미 세계시장을 장악하고 있고 기술력도 상당한 태양광·풍력발
전과 수력발전, 고압직류송전(HVDC), 전기차 보급량도 세계시장의 절반에 달한다.

유럽연합도 이번 에너지 파동의 여파로 재생에너지 확대를 가속화하고 있다. 독일은 재생에너지 발전비중을 2030년까지 80%, 2035년까지 100%로 확대하고 2030년까지 탈석탄하기로 했다. 영국도 2035년까지 재생에너지 100% 전환을 추진 중이다. 이미 70~99% 재생에너지 비중을 달성한 덴마크, 노르웨이, 아이슬란드 등은 언급할 필요도 없다. 청정에너지에 기반한 에너지자립이 국제정세에 따라 급변하는 화석에너지 의존을 탈피하고 에너지안보도 확보할 수 있는 지름길이다. 현재 세계적으로 10% 발전비중을 차지하는 원전도 에너지안보에 기여할 수 있다. 다만, 원전의 안전성·사회적 수용성 확보는 필수다.
화석에너지 외에는 대안이 없었던 20세기에 탄소중립과 에너지안보는 공존이 불가능한 목표였다. 기술과 시장의 혁신으로 자연에너지가 신주류로 부상한 21세기에 이 둘은 동시에 달성 가능해졌다. 뿐만 아니라 에너지자립이라는 모든 국가의 오랜 숙원과제도 해결가능하다. 새로운 산업과 일자리와 소득의 원천이기도 하다. 다만, 이는 2050년까지 30여년간 가야할 먼 길이다. 특히 에너지전환이 본격화될 2030년까지 탄소중립 기술과 시장 경쟁은 가속화될 것이다. 매년 10조달러 규모의 에너지시장과 산업 패권을 바라보고 벌이는 탄소중립 전쟁이다. 이 과정에서 화석에너지와 광물자원의 수급안정이 중요하다. 에너지기술개발과 인력양성, 기업육성도 과제다. 2020년까지 한국은 환경후진국이었지만, 이제 2030년까지 환경선도국으로서 위상을 확고히 할 때다.

/임춘택 에너지경제연구원장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

댓글 작성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