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기자의눈] 또 시작된 여야의 ‘청년 구애’ 경쟁 성공하려면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1.asiatoday.co.kr/kn/view.php?key=20230531010017469

글자크기

닫기

천현빈 기자

승인 : 2023. 06. 01. 07:00

clip20230531170302
천현빈 정치부 기자.
"당 위원회 위원장은 전부 다 다른 사람이 맡았는데, 이거(청년정책네트워크)만 딱 하나 내가 맡아서 했다. 그만큼 관심과 노력을 기울였다는 의지로 이해해달라"

국민의힘 청년네트워크 수장을 맡고 있는 김기현 대표가 숭실대를 찾아 2호 청년 정책 논의에 앞서 한 말이다. 지난 3월 대학가의 '천원의 아침' 현장부터 지난 30일 '청년ON다' 청년정책 공개오디션까지 일단 청(靑)심을 잡기 위한 소통이 활발하다. 토익 성적 유효기간 5년 연장부터 예비군 3권 보장 등 청년 맞춤형 정책까지 내놨다.

더불어민주당도 이재명 대표가 지난 24일 당내 '청년미래연석회의'의 4기 출범식을 갖고 청년 이슈의 주도권 경쟁에 가세했다. 청년미래연석회의는 당내 청년정책의 발굴과 실행을 전담하는 기구다. 이 대표는 "청년의 새 희망을 만드는 것도 우리 정치의 가장 큰 역할과 책임"이라며 "아마 현재 청년세대가 인류 역사상 기성세대보다 더 미래가 암울한 첫 번째 세대가 아닌가 싶다"고 청년 정책 해법 마련을 주문했다.

그러나 여야의 이 같은 노력에도 청년들의 관심을 잡을 수 있을지는 미지수라는 말이 나온다.

선거철만 되면 이어지는 정치권의 청심 구애에 청년들은 진정성에 의구심을 갖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이 비상대책위원장으로 영입했던 대학생 박지현 전 위원장은 지난해 6월 지방선거 패배 후 자리에서 쫓겨나다시피 했다. 이어진 민주당 전당대회엔 출마 자격조차 주어지지 않았다. 이준석 국민의힘 전 대표도 지난 대선 후 자리를 잃었다. 청년구애가 선거 후 '토사구팽'처럼 보인다는 지적이 청년들뿐만 아니라 정치권에서 나오는 까닭이다.

22대 총선이 1년도 남지 않았다. 1년 후면 청년 정치인 발굴을 위한 노력인지, 단순 표밭 다지기인지는 금방 드러날 것이다. 청년들은 선거 후 이들의 행방을 알게 된다. 2030 지지율은 거짓 없이 반응한다.
천현빈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