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기자의눈] 잘 나가는 K라면, 화끈한 정부 지원 기대한다

[기자의눈] 잘 나가는 K라면, 화끈한 정부 지원 기대한다

기사승인 2024. 06. 03. 06:42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이수일
생활과학부 이수일 기자
한국의 라면 수출액이 지난 4월 1억 859만 달러를 기록하며, 처음으로 월간 기준 1억 달러를 돌파했다. 이 덕분에 올해 라면 수출액은 11억 달러를 상회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지난해엔 10억 달러를 넘지 못한 것과 비교하면 성장세가 확연하다.

정부의 지원 사격도 눈에 띈다. 그 중 하나가 식품의약품안전처의 노력이다. 국내 주요 식품 수출국인 중국 등과의 양자회의에서 국내 제품 수출 시 규제장벽을 해소하기 위해 건의사항을 논의하고 규제당국 간 상호 협력도 강화하기로 했다. 최근 부산 해운대구 파라다이스 호텔 부산에서 열린 '제15차 한·중 식품기준전문가협의회'에선 국산 라면의 수출을 지원하기 위해 중국 정부에 식품 관리 기준 개선을 요청했다. 이러한 노력은 기업의 제품력이 더해지면서 라면 수출액을 늘리는 데 일조했다.

그러나 아직은 부족하다는 목소리도 있다. 물론 정부의 노력을 폄하하는 것은 아니다. 지금까지의 노력 덕분에 K라면이 승승장구했다. 좀 더 세밀한 지원이 있다면 수출이 더욱 늘어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정부가 지난해 라면을 30개 수출 유망 품목 중 하나로 지정하면서 특화지원 프로그램 신설 등 밀착 지원을 하겠다고 밝힌 것을 고려하면, 좀 더 화끈한 지원이 있을 필요가 있다고 본다.

가령 새롭게 수출을 하려고 하는 업체들이 나올 수 있게 만드는 방안이다. 흔히들 말해 대기업들이 K라면 수출을 주도하고 있지만, 이들에게 납품하는 협력업체들도 파격적인 지원을 받게 하는 방안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수출액이 줄어들면 기어이 다시 한 번 비상할 수 있도록 필요한 사항을 즉각적으로 지원하는 방안도 필요하다. 이 같은 지원은 업계와의 소통이 원활해야 가능하다. 정부와 기업들이 긴밀히 협조해 라면이 주요 수출품목의 하나로 자리잡길 희망해 본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