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AI가 일자리·인재 추천...“생성형 AI를 활용한 최초의 대국민 서비스”

AI가 일자리·인재 추천...“생성형 AI를 활용한 최초의 대국민 서비스”

기사승인 2024. 06. 12. 17:4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고용부, 인공지능(AI) 기반 디지털 고용서비스 7대 시범과제 선정·개발
고용부
구직자와 구인기업의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를 지원하기 위해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맞춤형 디지털 고용서비스가 강화된다. AI가 구직자에게 적합한 일자리를 추천해주고, 구인 기업에는 인재를 추천하는 서비스가 고도화된다.

고용노동부와 한국고용정보원은 국민 체감효과가 높은 구인·구직 서비스를 중심으로 AI 기반의 디지털 고용서비스 7대 시범과제를 선정해 개발한다고 12일 밝혔다.

7대 시범사업은 △AI 인재추천 개선 △구인공고 AI 작성지원 △채용성공모델 개발 △구인공고 AI 검증 △지능형 직업심리검사 △취업성공모델 개발 △AI 직업훈련 추천 개선 등이다. 구직자의 직업선호도, 경력 등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취업역량 향상을 지원하고, 구인기업의 구인공고 작성, 채용조건 제시 등 인재채용 과정에서 서비스 활용 편의성을 높이는 데 중점을 뒀다. 일자리·인재 추천 고도화를 통해 일자리 매칭 서비스도 강화한다.

편도인 고용부 고용지원정책관은 지난 10일 고용부 기자단을 대상으로 한 설명회에서 "이번 사업은 생성형 AI를 활용한 최초의 대국민 서비스"라며 "수요조사와 민간 및 해외 사례를 참고해 시범과제를 선정했다"고 말했다.

구인서비스는 채용확률 모델에 기반한 맞춤형 기업 컨설팅과 생성형 AI를 통한 구인공고 작성지원 등을 통해 기업이 보다 적합한 인재를 찾을 수 있도록 개선된다.

구직서비스는 지능형 직업심리검사 도입, 취업확률 분석에 기반한 맞춤형 취업지원, 직무역량 향상을 위한 직업훈련 추천 강화를 통해 구직자의 적성과 역량에 맞는 일자리에 조기 취업할 수 있도록 강화된다.

일자리 매칭 서비스는 기존의 일자리 추천 및 인재추천 서비스의 고도화를 통해 일자리 매칭 과정에서의 취업성과를 높인다.

고용부는 올해 연말까지 7대 시범과제의 서비스 개념검증을 완료할 예정이다. 개념검증이란 사업이 운영되기 전 사업의 운영 가능성 여부 및 문제점을 파악하는 작업이다. 이후 내년 상반기까지 시범적용 후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대국민 서비스에 나설 계획이다.

이정한 고용부 고용정책실장은 "디지털 고용서비스에 인공지능 기술을 본격 도입함으로써 개인·기업별 맞춤형 서비스의 획기적 개선이 기대된다"며 "공공과 민간의 협력을 통해 이번 시범과제가 성공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