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기자의눈] 살아나는 원전, 인재로 빈자리 채워야

[기자의눈] 살아나는 원전, 인재로 빈자리 채워야

기사승인 2024. 06. 14. 06: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_MG_1477반명함 (1)
4년여 전쯤일 거다. 소위 말하는 엄친아(엄마 친구 아들)가 서울 명문대 원자력공학과를 졸업하고도 수년이 지나도록 취업을 못하고 있단 이야기를 들었다. 입학 소식을 전할 때만 해도 동네가 떠나가도록 자랑스러웠던 아들이 흔들리는 국가 정책 속에서 일자리마저 뺏긴, 씁쓸한 결말이었다. 당시 탈원전 정책으로 수많은 원자력공학과 학생들은 전공을 포기하거나, 다른 업종으로의 길을 택할 수밖에 없었다.

그 학생들이 새로운 곳에서 각자의 자리를 잡아갈 때가 됐을까. 다시 원전은 살아나고 있다. 최근 정부는 9년 만에 새로운 원전 사업 계획을 발표했다. 오는 2038년까지 최다 3기의 원전을 짓고, 소형모듈원자로(SMR)를 활용한 미니 원전 1기를 투입하기로 했다. 한국수력원자력과 두산그룹 등 국내 민·관 협력이 이어지며 해외 원전 수주도 기대되고 있다.

업계로선 환영하고 반길 일이지만, 동시에 떠나버린 많고 많은 인재를 어디서 구해야 할지 걱정이 앞선다. 이미 전공자들은 대부분 타 업종으로 이직했고, 해외로 떠난 경우도 부지기수기 때문이다.

여기에 원전 회복세와 달리 원자력 관련학과 취업률은 여전히 저조하다. 2018년까지만 해도 90%에 달하던 국내 주요 대학 원자력공학과 취업률은 지난해 60~70%에 그친 상태다. 최근 3년간 취업률이 집계되지 않는 일부 대학조차 존재한다.

정부와 기업이 나서 원전 인재 양성에 집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정작 산업이 활발한 때 인력 공급은 원활치 못한 상황에 맞닥뜨릴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미국, 유럽 등 전 세계적인 원전 사업 재개에도 불구하고 각 국가는 기술자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동시에 원자력 관련 전공자는 막상 전공을 살려도 찾아주지 않는 취업 시장을 이미 온몸으로 느낀 바 있다. 한때 바닥을 쳐본 업계에 다시 인재가 돌아오려면 장기적인 비전과 함께 산학계 간 맞춤형 인재 육성 협력이 이뤄져야 할 것이다. 원전 생태계가 복원되는 지금, 수많은 인재들이 설 곳이 탄탄히 마련되는 게 우선이지 않을까.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