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이란, IAEA에 우라늄 농축설비 증설 통보…英佛獨 강력 비판

이란, IAEA에 우라늄 농축설비 증설 통보…英佛獨 강력 비판

기사승인 2024. 06. 16. 13:23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IRAN-NUCLEAR/IAEA
라파엘 그로시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총장이 지난달 6일 테헤란에서 후세인 아미르 압둘라한 이란 외무장관과 면담을 하고 있다. /로이터, 연합
이란 정부가 국제원자력기구(IAEA)에 자국 핵시설에 우라늄 농축에 사용하는 원심분리기를 증설하겠다는 계획을 통보한 가운데 영국과 프랑스, 독일 3개국이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로이터통신은 15일(현지시간) 영국과 프랑스, 독일이 이틀 전 IAEA 보고서를 통해 공개된 이란의 원심분리기 증설 계획에 대해 "핵 개발을 확대시키는 조치"라며 반대한다는 내용의 공동성명을 발표했다고 보도했다.

이들 3개국은 이날 성명에서 "이란이 지하 포드로 공장의 생산능력을 대폭 늘리기로 한 결정은 심히 우려된다"며 2015년 이란과 체결한 이란핵합의(JCPoA)를 거론했다. 이란핵합의는 2015년 7월 14일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중국, 러시아 등 6개국과 이란이 맺은 핵 합의다.

당시 이란과 6개국은 최대 쟁점이었던 이란의 군사 시설을 비롯해 핵무기 개발이 의심되는 모든 시설에 IAEA 사찰단이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는데 합의했다.

앞서 지난 13일 공개된 보고서에 따르면 이란 정부는 중부지역에 위치한 나탄즈와 포르두 핵시설에서 우라늄 농축에 사용하는 원심분리기를 증설한다는 계획을 IAEA에 통보했다. IAEA는 보고서에 이 중 포르두 핵시설에서 실제로 증설 작업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IAEA는 이번 원심분리기 증설 계획은 지난 5일 IAEA 이사회가 이란 내 신고되지 않은 장소에서 발견된 핵물질을 조사하는 것에 대한 (이란 정부의)협력이 불충분하다는 결의를 채택한 것에 이란 정부가 반발하며 내놓은 조치인 것으로 보고 있다.

이란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집권 시절인 2018년 5월 미국이 이란핵합의를 공식 탈퇴한 이후 6개국과 합의한 당시 정한 상한 기준을 훌쩍 넘어선 60%까지 농축도를 높인 우라늄 제조를 추진하고 있어 국제사회의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로이터는 "이란은 이란핵합의와는 별개로 핵확산금지조약(NPT)에 따른 안전조치 협정을 완전히 이행할 법적 의무가 있다"고 전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