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유럽 “바이든 결단 존중”… 中 “트럼프 대망론 한풀 꺾여”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1.asiatoday.co.kr/kn/view.php?key=20240723010013817

글자크기

닫기

홍순도 베이징 특파원 | 김현민 기자

승인 : 2024. 07. 22. 17:14

美 대선후보 사퇴 각국 반응
英·獨·우크라 "그의 리더십에 감사"
러 "어떤일이 벌어질지 지켜볼 필요"
中, 고관세 등 경제 리스크 탈피 기대
USA-ELECTION/BIDEN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재선 도전을 포기한다고 발표한 21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 칼리지 포인트 인쇄공장 근로자가 뉴욕포스트 사본을 읽고 있다. /로이터 연합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1일(현지시간) 재선 도전 포기를 선언한 데 대해 유럽 등 해외 정상들은 그의 어려운 결단을 존중한다며 격려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즉각 소셜미디어에 올린 글을 통해 "바이든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의 자유를 위한 투쟁에 대해 초당적이고 변함없이 지지해 주는 것에 감사하다"고 인사했다. 이어 "최근 몇 년 동안 많은 강력한 결정이 내려졌고 이는 어려운 시기에 대응해 바이든 대통령이 취한 대담한 조치로 기억될 것"이라며 "우리는 오늘의 엄격하고 강력한 결정을 존중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바이든 대통령의 리더십에 항상 감사할 것"이라며 "그는 역사상 가장 극적인 순간에 우리나라를 지원했고 푸틴 대통령이 우리나라를 점령하는 것을 막는 데 도움을 줬으며 이 끔찍한 전쟁 내내 우리를 계속 지원했다"고 설명했다. 또 "우크라이나와 유럽 전역의 현재 상황도 그에 못지않게 어렵다"며 "우리는 미국의 지속적이면서 강력한 리더십이 러시아의 사악함이 승리하거나 침략이 결실을 맺는 것을 막기를 진심으로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러시아는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미국 대선 결과가 아니라 특별군사작전에서 성과를 내는 데 있다"고 입장을 밝혔다. 러시아 정부는 자국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특별군사작전이라고 칭하고 있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이날 "미 대선은 아직 4개월 남아 있어 앞으로 어떤 일이 벌어질지 지켜볼 필요가 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고 타스 통신이 보도했다.

중국은 이 같은 상황을 긍정적으로 보는 분위기다. 런민르바오(人民日報)를 비롯한 관영 매체들은 바이든 대통령의 사퇴가 자국에 불리하게 작용하지 않을 것이라는 뉘앙스로 보도했다. 당정 최고 지도부 역시 불리하다고 보지 않는 입장이다. 공화당의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될 경우 미국이 중국에 대해 고관세 등의 정책을 동원해 견제를 강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중국의 오피니언 리더들은 공공연하게 바이든 대통령의 사퇴를 반기고 있으며 트럼프 대망론이 한풀 꺾였다고 분석하기도 했다. 팡창핑(方長平) 런민(人民)대 교수는 "바이든이 민주당 후보가 되면 미 대선은 솔직히 하나 마나라고 할 수 있지만 다른 후보가 나서면 결과는 트럼프의 일방적 승리로 끝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면서 미 대선은 이제 시작이라고 전망했다.

유럽의 주요 국가 정상들은 바이든 대통령에 대해 격려와 칭찬의 메시지로 반응했다.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는 "바이든 대통령의 결정을 존중하며 그의 남은 임기 동안 양국이 함께 일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그가 놀라운 경력 내내 그랬던 것처럼 미국 국민을 위해 최선이라고 생각하는 것에 근거해 결정했을 것임을 알고 있다"고 말했다.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는 "내 친구 바이든은 조국을 위해, 유럽을 위해, 세계를 위해 많은 것을 이뤘다"며 "그 덕에 대서양 연대는 긴밀하고 나토는 강하며 미국은 우리에게 훌륭하고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라고 칭찬했다.

도날트 투스크 폴란드 총리는 "바이든 대통령은 폴란드와 미국, 세계를 더 안전하게 하고 민주주의와 자유를 더 굳건하게 하는 어려운 결정을 내려왔다"며 "이번 결정을 발표할 때도 같은 원칙으로 했다는 것을 안다"고 공감했다. 아울러 "아마 인생에서 가장 어려운 결정이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홍순도 베이징 특파원
김현민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

댓글 작성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