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동반성장]대·중기 성과공유제로 원가절감 등 동반성장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1.asiatoday.co.kr/kn/view.php?key=20241010010004683

글자크기

닫기

오세은 기자

승인 : 2024. 10. 21. 14:35

성과공유제로 수탁기업 총 5조7909억 성과
포스코, 국내 1호 도입기업에서 성과공유제 우수사례로 안착
1
성과공유제 협력사 태영ENG 전경.
성과공유제는 대기업과 협력업체가 원가절감, 품질개선, 생산성 향상, 경영혁신, 인력양성, 부품국산화, 공동마케팅, 해외사업 공동수주, 신기술·공정·제품 개발 등 협력활동의 목표를 합의하고 사전에 계약을 체결해 공동의 협력활동을 통해 발생한 성과를 현금배분, 물량과 매출 확대 등의 방식으로 공유하는 동반성장의 대표적인 모델이다.

21일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에 따르면 국내 성과공유제는 2004년 포스코가 처음 도입했으며 2006년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촉진에 관한 법률' 제8조에 법적근거를 마련해 제도로써 기반을 구축했다.

정부는 이러한 성과공유제가 산업계 전반에 확산될 수 있도록 2012년부터 '성과공유 확인제'를 운영하고 있다. 성과공유 확인제는 성과공유제 확산추진본부로 지정된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에 위탁기업과 수탁기업이 성과공유 과제를 등록 후 공유한 성과를 증명하면 성과공유 과제 확인서를 발급하고 정부가 다양한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제도이다.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은 성과공유 아카데미, 과제코칭 등을 통해 제도를 도입하는 기업에 대한 교육·컨설팅을 지원하고 있으며 우수사례 발굴을 통한 성과공유제 확산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2012년 4월 성과공유 확인제가 시행된 이래 올해 8월 말까지 성과공유제 종합관리시스템(BENIS)에 등록된 과제는 3만5915건, 확인과제는 2만305건에 이른다. 이를 통해 대기업, 공기업 등 604개 위탁기업과 1만8265개의 수탁기업이 총 5조7909억원의 성과를 공유하는 실적을 거뒀다. 그 중 포스코는 올해로 성과공유제 도입 20주년을 맞이하며 지난 20년간 368개의 협력사와 △국산화 △원가 절감 △안전 환경 개선 등의 분야에서 총 1443건의 과제를 공동수행한 성과공유제의 대표적인 우수사례로 꼽힌다.

특히 위험이 따르는 제철·제강 기업의 특성상 포스코는 직원들의 안전재해 예방에 주력해 왔으며 제철 설비 제작·가공업체인 태영이엔지와 진행한 탱크 지금(地金) 제거 작업 기계화 과제는 대표적인 사례다. 공정 작업과정에서 탱크 커버에 튄 쇳물덩어리인 지금(地金)은 주기적인 제거 작업이 필요하다. 과거에는 지상 5m 높이의 리페어카(Repair Car)에 올라가 수작업으로 제거해 왔으나 안전 강화를 위해 포스코는 태영이엔지와 함께 해당 작업을 기계화로 전환하는 과제를 진행했다.

지금 제거 작업의 수작업을 기계화하기 위해 현장 요구사항을 토대로 수차례 공장시험과 개선작업을 거쳐 원격운전이 가능한 지금 제거 장치를 설치했다. 기계화를 통해 안전 강화 뿐만 아니라 지금 제거율 향상에 따른 작업 효율의 증대로 일거양득의 효과를 거뒀다. 이러한 기계화 전환을 통해 지금 제거 작업의 잠재위험등급은 B등급에서 F등급으로 하향 조정됐고 제거 작업 시간은 통상 150분에서 40분으로 단축됐으며 수작업의 한계로 낮았던 지금 제거 성공률도 95% 이상의 향상 효과를 달성했다.

태영이엔지는 그동안 2,3차 하도급사로 포스코에 제철설비를 납품해왔으나 성과공유제를 통해 포스코와 직접계약을 체결하며 유사 설비·공정 개선사업에 함께할 예정이다. 포스코 관계자는 "지금 제거 작업이 힘도 들고 위험해 직원들이 꺼리는 작업이었는데 성과공유제를 통해 작업자 안전과 근무여건을 개선할 수 있어 다행"이라며 성과공유제 참여 소감을 밝혔다.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 관계자는"성과공유제 도입 초기부터 현재까지 선제적으로 성과공유제 전담조직인 BS(Benefit Sharing)지원 섹션을 구축해 동반성장 활성화에 기여한 포스코의 노력에 감사하다"며 "지난 20년간 성과공유제는 대기업과 협력사 간 동반성장의 대표적인 실천모델로써 산업계 전반에 확산되는 성과가 있었다. 앞으로는 대기업과 협력사 간 관계에 국한되지 않고 중견·중소기업을 포함한 경제적 우열관계 전반으로 확산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오세은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

댓글 작성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