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SK온, ‘리밸런싱’ 완수…글로벌 ‘배터리·트레이딩’社 도약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1.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131010014501

글자크기

닫기

김유라 기자

승인 : 2025. 02. 01. 06:00

SK트레이딩인터-SK엔텀 합병 마무리
원소재 구매비용 절감하고 리스크 관리까지
매출 62조, 자산규모 40조 바라본다
2024110701010004749
SK온 서산공장 전경./SK온
SK온이 계열사들과 합병을 통해 차별적 경쟁력 확보에 다가섰다. 회사는 앞서 SK트레이딩인터내셔널 합병으로 글로벌 원소재 네트워크를 확보한 데 이어, SK엔텀 합병까지 마무리해 탱크 터미널도 운용하게 됐다. SK온은 새 사업으로 재무 구조를 개선하고 배터리 포트폴리오도 확장해나간다는 계획이다.

1일 SK온은 SK엔텀과의 합병절차가 마무리됐다고 밝혔다. SK엔텀은 국내 최대 사업용 탱크 터미널로서 유류화물 저장 및 입출하 관리 전문 회사다.

SK온은 지난해 말에도 SK트레이딩인터내셔널과 합병을 단행한 바 있다. 현재는 'SK온 트레이딩 인터내셔널'로 이름을 바꿔 SK온의 사내독립기업(CIC) 형태로 운영중이다. 이날 합병이 완료된 SK엔텀은 'SK온 트레이딩 인터내셔널'의 터미널 사업부로 편입된다. 3사 합병 법인의 이름은 SK온이다.

이로써 SK온의 사업구조 개편은 마무리 수순에 들어섰다. SK온이 지난해 7월 그룹차원의 리밸런싱(사업구조 개편)에 동참하기 위해 SK트레이딩인터내셔널, SK엔텀과의 합병을 발표한 지 6개월 만이다. SK그룹은 2023년 말부터 고강도 리밸런싱을 통해 사업 효율을 극대화하고 있다.

SK On_LOGO
/SK온
SK온은 트레이딩 역량과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해 원소재 구매 비용을 절감하고, 가격 변동성을 비롯한 각종 리스크에 기민하게 대처할 방침이다.

이외에도 기존 SK엔텀의 탱크 터미널 자산을 활용해 트레이딩의 수익성 향상을 노린다. 기존 석유 중심 사업 구조에서 확장해 리튬·니켈 등 배터리 광물 소재 트레이딩 사업으로의 진출도 기대된다.

합병을 통해 SK온의 재무 구조도 개선될 전망이다. SK온에 따르면 합병 전인 2023년 말 기준 매출이 13조, 자산규모는 33조인데 반해 합병 후 매출은 62조, 자산규모는 40조로 커질 전망이다.

SK온 관계자는 "합병을 통한 시너지 창출로 차별적 경쟁력을 확보하고 장기적 성장의 발판이 마련될 것"이라며 "SK온은 성장성과 안정성을 고루 갖춘 '글로벌 배터리·트레이딩 회사'로 거듭날 것"이라 말했다.
김유라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