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기차는 강릉·경주, 배는 목포·부산”…문체부·관광공사 분석 보고서 발간

“기차는 강릉·경주, 배는 목포·부산”…문체부·관광공사 분석 보고서 발간

기사승인 2024. 06. 07. 15:4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clip20240607152930
한국관광공사 제공.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가 7일 교통수단에 따른 여행자 행동을 분석한 보고서 '교차로'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문체부와 관광공사는 지난 2022년 1월부터 2024년 3월까지 블로그, 인스타그램, X 등에서 '교통수단'과 '여행' 관련 키워드를 동시에 언급한 소셜데이터 717만여 건을 분석해 이번 보고서를 냈다.

보고서에는 기차, 대중교통, 선박, 자전거, 항공 등 교통수단별 여행 선호도와 여행 중 활동, 긍정 및 부정 인식 등 13가지 주제에 대한 분석이 담겼다.

데이터에 따르면 '대중교통여행'이 346만여 건(48.3%)으로 가장 많이 언급됐다. 항공여행은 170만여 건(23.8%), 기차여행은 133만여 건(18.7%)이었다.

교통수단별로 기차여행은 강원도 강릉시,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경상북도 경주시가 가장 많이 언급됐다. 대중교통여행은 강원도 강릉시, 경상북도 경주시, 경기도 김포시였다. 선박여행은 전라남도 목포시, 부산 해운대구, 경상북도 울릉군으로 나타났다. 자전거여행은 서울특별시 중구, 경상북도 경주시, 경기도 고양시가 많았다. 항공여행은 경기도 김포시,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경상남도 김해시였다.

구체적 관광지로는 기차여행에서 부산 청사포, 강릉 정동진, 경주 황리단길이 가장 많았다. 대중교통은 서울 한강, 남산, 홍대, 광화문, 롯데월드 순이었다. 선박은 마라도, 우도, 가파도로 나타났다. 자전거여행은 한강, 우도, 여의도 순이다. 항공여행은 제주도 협재해수욕장, 오설록, 새별오름, 산방산 등이 많이 언급됐다.

기차·대중교통·항공 여행의 주요 활동 키워드는 카페 또는 맛집이 1위였다. 감정과 관련된 키워드는 '여유'가 가장 많았다. 교통수단별로 보면 기차는 '낭만', 대중교통은 '편함', 선박은 '기대', 항공은 '설렘'이 차별화 된 긍정 요인으로 꼽혔다.

부정적인 인식으로는 기차의 이동 시간과 비용, 대중교통의 혼잡함, 선박·자전거·항공의 안전 우려가 언급됐다.

이외 보고서에는 교통수단별로 달라지는 동반자, 기간, 음식 등에 대한 분석 결과 등도 포함됐다. 자세한 내용은 한국관광데이터랩(datalab.visktkorea.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심홍용 관광공사 관광컨설팅팀장은 "보고서의 분석결과를 사업에 적용해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고 지역 콘텐츠 발굴, 관광상품 개발 등에 활용할 계획"라고 밝혔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