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HD현대오일뱅크, SAF 해외 영토 확대…일본·유럽 시장 공략

HD현대오일뱅크, SAF 해외 영토 확대…일본·유럽 시장 공략

기사승인 2024. 06. 16. 15:59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국내 정유사 중 최초 수출
日 트레이딩사 마루베니에 공급
현대
(왼쪽부터) 이주현 한국석유공사 서산지사장, 전병혁 한국석유공사 석유사업처장, 박진혁 HD현대오일뱅크 트레이딩부문장, 이승호 HD현대오일뱅크 생산운영기획부문장, 마사토미 류이치 한국마루베니 대표, 시라이시 준페이 마루베니 차세대 연료사업기획팀장이 지속가능 항공유 초도 생산 수출 행사에서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HD현대오일뱅크
HD현대오일뱅크가 국내 최초로 지속가능항공유(SAF)를 수출하며 해외 판로 개척에 적극 나서고 있다. 항공업계 탄소 감축의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지속가능항공유가 대두되면서 HD현대오일뱅크는 미래 성장동력으로 키우고 있다. 앞으로 일본뿐만 아니라 유럽 등지에서도 지속가능항공유 수요가 늘어날 것에 대비해 시장 공략에 적극 나설 계획이다.

16일 HD현대오일뱅크에 따르면 지속가능항공유를 일본 트레이딩 회사인 마루베니에 공급한다. 이는 ANA항공(전일본공수)에서 사용된다. 일본이 지속가능항공유를 한국으로부터 수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한국석유공사(KNOC)는 자사의 탱크 터미널에 지속가능항공유를 저장, 선적하며 이 사업에 참여했다.

이번에 생산된 제품은 HD현대오일뱅크의 기존 정유 설비에 석유 기반 원료와 동식물성 바이오 원료를 함께 투입하는 '코프로세싱' 방식을 활용한다. 코프로세싱이란 기존 정유 설비에 석유 기반 원료와 동식물성 바이오 원료를 함께 투입하는 방식이다.

앞서 HD현대오일뱅크는 코프로세싱 방식의 바이오 연료에 대해 고도화된 정제 기술력을 인정 받아 친환경 국제인증제도인 ISCC 인증 3종을 획득하기도 했다. 특히 바이오 기반 항공유, 디젤 등은 최종 제품에 대한 실제 수율을 적용한 인증을 마쳤으며, 바이오 항공유는 미국재료시험협회(ASTM) 품질 인증까지 획득했다.

지속가능항공유는 화석연료가 아닌 폐식용유 등 바이오 기반 원료로 생산한 친환경 연료다.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의 탄소 배출 감축 목표에 따라 일본 정부는 2030년까지 항공유 수요의 10%를 지속가능항공유로 대체하는 정책을 발표했다.

지속가능항공유는 항공업계에서 탄소 감축의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꼽힌다. 유럽연합(EU)에서는 내년부터 자국 공항을 이용하는 항공기를 대상으로 지속가능항공유 사용 비율 2%를 의무화할 예정이다. 이 비율은 2030년 6%, 2035년 20%, 2050년 70%로 점차 늘릴 방침이다. 미국에서도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라 기존 항공유 대비 탄소 배출량을 50% 이상 줄인 지속가능항공유를 판매·사용할 경우 세액공제를 제공할 계획이다.

HD현대오일뱅크는 미래 성장동력으로 바이오 사업 확대에 적극 나서고 있다. 바이오디젤 공장 완공을 앞두고 있으며 수첨 바이오디젤 공장 건설, 해외 바이오 연료유 제조사업 진출 등을 계획 중이다. 2025년 이후에는 연산 50만 톤 내외의 바이오 항공유 제조공장도 완공할 예정이다.

박진혁 HD현대오일뱅크 글로벌사업본부 상무는 "글로벌 수요가 높아지고 있는 만큼 적극적인 수출로 세계 시장의 지속가능항공유 주도권을 확보하겠다"며 "바이오 납사, 바이오 경유 등 코프로세싱 방식의 바이오 연료 수출도 확대해 가겠다"고 밝혔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