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대기만 5000명인데” KB라이프 요양사업, 수익성 개선 과제는...

“대기만 5000명인데” KB라이프 요양사업, 수익성 개선 과제는...

기사승인 2024. 06. 24. 18:42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KB골든라이프케어, 적자폭 10배↑
현행법상 토지·건물 직접 매입해야
입주 우선권 특약상품 판매도 불허
clip20240624184112
KB라이프생명보험의 프리미엄 요양사업이 흥행가도를 달리고 있지만, 정부 규제로 사업 확장에 제동이 걸리며 적자폭이 커지고 있다. 요양사업 자회사 'KB골든라이프케어'의 적자폭이 1년 만에 10배 확대됐다. 최근 요양 시설 대기자 수가 5000명을 돌파하는 등 고객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난 것을 고려하면 아이러니한 실적이다.

주요 원인은 사업 초기 시설 운영비 때문이다. 현행법상 금융사가 요양사업을 하려면 민간임대가 아닌 땅과 건물을 직접 매입해야 하는데, 재정적 부담이 큰 탓에 매년 적자가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상황이다. KB골든라이프케어는 내년 요양시설 3곳을 새롭게 오픈할 계획이다.

이달 요양시설 입주 우선권 특약이 탑재된 종신보험 상품을 출시할 예정이었지만, 위법 소지가 있다는 정부의 지적에 사실상 백지화됐다. 정부 규제에 보험업계 신사업 활로가 막히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2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KB라이프의 요양사업 자회사 KB골든라이프케어는 올 1분기 22억 순손실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2억원 순손실) 대비 10배 이상 확대됐다. 1년 만에 적자폭이 깊어졌지만 KB골든라이프케어의 인기는 오히려 치솟고 있다. 위례와 서초 빌리지 대기 인원수는 각각 2500명으로, 총 5000명에 이른다.

KB골든라이프케어가 인기몰이에도 적자가 확대된 배경은 대출 이자 등 부동산 매입비용이 커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KB라이프는 작년 KB손해보험으로부터 KB골든라이프케어를 인수한 뒤 은평·강동·광교 빌리지 3개 요양시설을 추가 개설하기 위해 작업 중이다. 현행법상 금융사가 30명 이상 요양시설을 지으려면 토지와 건물을 직접 매입해야 한다. 요양시설이 난립하지 않도록 한다는 취지이지만, 수요가 집중된 서울·수도권에 요양시설을 지어야하는 만큼 이자 등 금융비용 부담이 상당하다. KB라이프 관계자는 "부동산 매입 관련 비용이 늘어난 것"이라며 "실제로 대기자 수가 5000명에 달하며 요양시설 수요는 지속적으로 유입되고 있다"고 밝혔다.

쉽사리 풀리지 않은 규제에 KB라이프는 요양시설 수요를 활용한 신상품을 출시해 수익성을 높일 계획이었지만 이마저도 무산됐다. 당초 이달 '입소 우선권' 특약을 탑재한 보험상품을 출시할 예정이었는데, 노인장기요양보험법에 저촉될 수 있다는 보건복지부의 지적을 받았다. 현행법상 입소우선권이 영리를 목적으로 알선하는 행위 혹은 유인하는 행위로 해석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이에 대해 KB라이프는 입소 우선권 관련 상품을 전면 재검토한다는 입장이다.

KB라이프 요양사업은 그룹 차원에서도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이란 기대를 받고 있다. 고령화가 지속되고 있는 만큼, KB라이프의 요양사업을 기반으로 KB손해보험의 디지털 헬스케어 사업은 물론, 은행·카드 등 전 계열사의 금융상품을 연계해 수익성을 확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KB라이프는 작년 '시니어 사업 추진부'를 새롭게 신설하기도 했다.

문제는 규제다. 보험업계는 요양사업 선진국인 일본의 사례를 적극 검토해야한다는 입장이다. 일본 보험사들은 토지를 매입하지 않고 민간 임대를 하는 방식으로 요양사업을 운영해 수익성을 확보하고 있고, 요양과 연계한 보험상품도 적극적으로 출시하고 있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일본 사례처럼 규제 완화 필요성은 지속적으로 제기돼 왔다"며 "요양사업에서 의미있는 수익을 거두려면 규제 완화가 되어야 하는데, 시일이 걸릴 것 같다"고 밝혔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