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기자의눈] K 반도체산업이 ‘韓日 갈등’ 4년간 얻은 교훈

[기자의눈] K 반도체산업이 ‘韓日 갈등’ 4년간 얻은 교훈

기사승인 2023. 05. 16. 16:15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정문경 아시아투데이 기자
전격적으로 이뤄진 한일 관계 개선, 첫 증표라 할 수 있는 각종 수출규제가 2019년 이전 상황으로 복구됐다. 요컨대 수년간 삼성과 SK를 흔들었던 반도체 3대 소재에 대한 수출규제가 해소 됐고 한동안 배제됐던 화이트리스트(수출 절차 간소화 우대국 명단)에도 다시 이름을 올렸다.

4년간 우리 산업계는 무슨 일을 했고 어떤 교훈을 얻었을까. 결론적으로 소재부품 자립이 어렵다는 현실을 자각했다. 당장 양국간 정치·사회 문제를 소재 수출 규제로 풀어내려 한 일본의 자신감에서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2019년 일본이 반도체 제조에 필요한 불과 3개 소재품목의 수출을 까다롭게 만들자 반도체가 전체 수출 20%를 차지하는 우리 경제 전반에 대한 위기감이 번졌다. 소재·부품·장비가 얼마나 중요한 지 다시 한번 깨닫는 계기가 됐고 정부는 이를 줄인 '소·부·장' 산업이라는 말을 만들어 본격적인 분석과 대책 마련에 나섰다.

기초 과학이 발달한 일본의 첨단 소재를 우리가 대체 할 수 있을 지에 대해 우리 산업계는 머리를 맞대고 또 맞댔다. 물론 일부 내재화 할 수 있는 품목들이 있었고 양국 갈등을 계기로 국산화에 성공했다고 대대적으로 홍보하기도 했지만 실상은 미미했다.

일부 대체품을 만들 순 있어도 범용제품의 생산만 가능할 뿐, 더 진보한 소재를 개발해 내지 못하는 현실을 알게 됐다. 산업 각계에서도 가장 좋은 가격에 가장 좋은 성능의 소재와 부품을 사들여 '초일류' 제품을 만들어야 할 판에, 안정화를 위한다고 국산화에 힘쓰는 건 소모적이고 글로벌 트랜드에도 역행한다는 비판이 쏟아졌다. 실제로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웨이퍼 코팅제의 90%, 포토레지스트의 79%를 여전히 일본에서 수입하고 있다. 국산화에 열을 냈던 불과 몇개 품목마저 내재화에 실패한 셈이다.

그렇게 다시 양국이 화해 무드에 들어섰다. 단순히 국내 소·부·장 생태계에 대한 정부와 대기업의 투자와 지원만으로만 해결 될 일이 아니라는 판단이 섰다. 일본을 중심으로 한 글로벌 소재 기업들의 국내 유치 활동이 본격화 된 배경이다. 한일 갈등 봉합이 물론 쉽게 결정 될 일은 아니지만 경제·산업의 영역에선 분명 상생 할 그림이 많아 보인다. 어찌됐든 소재 강국 일본이다. 손 잡고 가다보면 배우는 게 많을테고 마침내 한국이 첨단 소재 강국의 영역에까지 들어설 수 있길 기대해 본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